2023년 1월호 문화 고려의 목판인쇄술과 세계문화유산 팔만대장경 Ⅲ

2023.01.25 글마루
0 113


고려의 목판인쇄술과

세계문화유산 팔만대장경 Ⅲ 


글·사진 이명우 운룡도서관·운룡역사문화포럼 회장


cf75f5c9cfe47e9471e4aef3c8df80e4_1674572900_7397.jpg

해인사 대장경 판고

대장경 판고는 통풍이 잘되고 습기가 차지 않도록 설

계돼 있어, 과학적인 자연 환기 시스템을 갖춘 이상적

인 판목 보존 건물이라 할 수 있다.



흔히 <팔만대장경>이라 부르는 <재조대장경>은 현재 합천 해인

사 장경각에 보관되어 있는 것이 8만 1258판으로 1516종의

문헌 6815권이 수록되어 있는데 세계에서 가장 규모가 크고

판각 기술이 가장 뛰어난 최고(最古)의 목판이다.



고종 18(1231)년에 몽골의 1차 침입이 시작된 이후 고종 46(1259)년 고려와 몽골 사이에 강화(講和)가 이루어질 때까지 거의 30년에 걸친 몽골의 침입은 고려 사회에 큰 피해를 주었다. 고려가 몽골의 1차 침입 직후 최씨정권이 강화도로 천도를 단행하여 몽골에 대한 항쟁 지속하였다.


고려 정부가 몽고군을 피해 강화도로 이전하였으나 몽고군을 조선 땅에서 쫓아낼 가망은 희박해졌다. 고려 정부는 현종 때 거란군을 퇴치를 불력(佛力)에 호소하기 위해 초조대장경을 각판할 때와 같이 이번에도 대장경을 다시 조판하기로 하였다.


고려 고종 23(1236)년 강화도에 대장도감을 설치하고 그해부터 각수(刻手)와 필수(筆手) 등 인력과 목재 수집 등에 대한 준비기간 2년과 제작 기간 14년에 걸쳐 대장경 조성사업을 추진하여 고종 38(1251)년에 재조대장경(再雕大藏經: 해인사 <팔만대장경>)을 완성하였다.


특히 해인사 장경각에 보존된 재조대장경판에는 경판 끝에 각판 연도에 해당하는 간지(干支)가 새겨져 있어서 실제 제작한 연도를 알 수 있다. 또한 중국의 연호를 쓰지 않고 ‘고려국(高麗國)’ 이름과 또 황제가 쓸 수 있는 용어인 봉칙(奉勅)이란 글자를 사용하였다. 이것은 몽고와의 전쟁 시기에 대장경 조성을 통해 고려가 자주 독립국이라는 것을 나타낸 것으로 볼 수 있다.


흔히 <팔만대장경>이라 부르는 <재조대장경>은 현재 합천 해인사 장경각에 보관되어 있는 것이 8만 1258판으로 1516종의 문헌 6815권이 수록되어 있는데 세계에서 가장 규모가 크고 판각 기술이 가장 뛰어난 최고(最古)의 목판이다.



cf75f5c9cfe47e9471e4aef3c8df80e4_1674572900_8095.jpg

팔만대장경판



cf75f5c9cfe47e9471e4aef3c8df80e4_1674572900_8616.jpg

<팔만대장경>



 
이 목판들의 판목은 제주도, 완도, 거제도, 울릉도 등의 섬에서 나는 후박이나 거제수를 사용하였는데, 이 목재가 뒤틀리거나 벌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수년간 바닷물에 담갔다가 또 소금물에 쪄서 진을 빼고 그늘에서 말리기를 수년 한 후에 판목의 크기대로 잘라 다듬어서 글자를 새겼다고 한다.

<팔만대장경> 목판은 세로 24㎝, 가로 65㎝, 두께 4㎝의 크기이다. 양쪽에 목판이 뒤틀리지 않고 인쇄작업에 편하도록 조금 두꺼운 각목을 끼우고 네 귀에 청동판의 띠를 둘러 못을 치고 표면에 얇게 칠을 입혔다. 관목의 무게는 2.4~3.75㎏ 정도이며, 글자는 한 줄에 1.5㎝ 크기의 14자씩 23줄로 양면에 조각하였다.
대장경판 한 판의 두께가 4㎝이므로 8만 1258판을 전부 쌓으면 그 높이는 약 3250m로 백Woodblocks)’이다.

두산(2744m)보다 높다. 일반적으로 <팔만대장경>이 세계문화유산에 등재된 것으로 알고 있지만 세계문화유산에 등재된 공식 명칭은 ‘고려대장경 목판을 보관하고 있는 해인사 장경판고(The Haeinsa Temple Changgyong Pango, the Depositiories for the Tripitaca Koreana Woodblocks)’이다.



cf75f5c9cfe47e9471e4aef3c8df80e4_1674572900_9176.jpg

대장경 판고 외부



<팔만대장경>이 세계문화유산이 안 된 것은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되는 대상은 유적에만 한정되기 때문에 고려대장경을 보관하는 장경판고로 등재한 것이다.


<팔만대장경> 판목들은 해인사의 판고(板庫) 2동에 보존되어있다. 판고는 통풍이 잘되고 습기가 차지 않도록 설계되어 있다. 판고 앞쪽에는 통풍용 창문을 아래쪽에 내고 뒤쪽은 위에 통풍용 창문을 내었다. 판목들은 옆으로 차곡차곡 끼워 넣으면 일정하게 사이가 떠서 통풍 잘되도록 짜인 판가(板架)에 잘 배열되어 꽂혀 있다.


대장경 판고를 관통하는 공기는 아래 통풍창으로 들어와 넓게 퍼져서 판가 사이에 뚫린 무수한 틈새를 통해서 위로 올라가 뒤쪽 위의 통풍창으로 흘러나가게 되어 있어 아주 과학적인 자연환기 시스템을 갖춘 이상적인 판목 보존 건물이라 할 수 있다.







Comments

  1. 등록된 코멘트가 없습니다.